학회지 논문투고 규정
제정:1993. 12. 11.
개정:1998. 04. 24.
2004. 04. 17.
2004. 12. 16.
2006. 11. 03.
2007. 11. 02.
2009. 11. 13.
2010. 10. 01.
2011. 02. 16.
2013. 10. 23.
2017. 04. 30.
2019. 08. 22.
2021. 08. 26.
2021. 12. 17.
2022. 08. 17.
(원고의 제출)
1.본 학회지는 식품의 저장, 가공, 품질평가 및 기능성 소재개발 등에 관련한 분야의 학문 및 기술에 관한 연구논문(research article), 연구노트(research note), 총설(review) 등을 게재한다.
2. 논문의 교신저자는 본회 회원을 원칙으로 하며, 외국인과 초청논문은 예외로 한다.
3. 투고원고(연구논문, 연구노트, 총설)는 다른 학술지 및 연구논문집 등에 발표, 게재되지 않은 것이어야 하며, 중복 및 표절한 내용이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
4. 투고는 학회 홈페이지의 논문투고 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접수하며, 접수일은 편집위원장 또는 전담 편집자가 투고원고의 abstract, table 제목 및 figure 설명문의 영문을 검토하고 접수번호를 부여한 날로 한다.
5. 원고는 워드프로세서(아래아한글 또는 MS word/영문논문)로 용지크기 A4/Letter, 글자크기 10-12 포인트, 줄 간격 200%로 작성하고, 각 페이지 및 줄마다 일련번호를 표기한다.
6. 논문 투고와 함께 체크리스트를 학회 홈페이지 논문투고 시스템에서 작성하여야 한다.
7.연구노트는 가능한 원저논문의 형식에 준하여 작성하되 인쇄 후 그림(Figure)과 표(Table)를 합하여 5면 이내여야 한다.
8. 총설(review)은 초청된 것과 자유 투고된 것으로 구분하고, 자유 투고된 총설은 연구논문에 준하는 심사과정을 거쳐 채택된 경우에 게재한다.
(심사절차와 게재 승인)
9. 투고원고의 게재여부 및 형식은 심사규정 및 편집규정에 따르며, 규정에 포함되지 않은 사항은 편집 위원회의 결정에 따른다. 또 편집위원회는 원고 중의 자구에 대하여 수정을 가할 수 있다.
10. 수락된 논문의 인쇄 시 교정은 초교에 한하여 저자가 행함을 원칙으로 하고, 초교 중 원고는 원칙적 으로 변경하거나 추가할 수 없다. 단, 편집 체제상 필요하다고 인정 되는 사항은 편집자가 이를 교 정할 수 있다.
11. 채택일은 논문심사가 완료된 후 게재가 확정된 날로 하며, 확정이후에 투고저자에 변동이 있는 경우 는 저자 전체의 동의서가 첨부되어야 한다.
12. 논문 게재료는 초교작업 후(표, 그림, 사진을 포함) 1면당 50,000원의 비용으로 저자가 납부하여야 한다(영문 논문, 영문 리뷰는 별도). 단, 속심과 칼라인쇄가 필요한 경우는 저자가 별도 부담한다.
13. 논문별쇄본은 pdf 파일로 제공하며, 별쇄본이 필요한 경우 저자가 별도의 신청서를 홈페이지에서 다 운 받아 제출하고 실비를 부담한다.
14. 저작권이양동의서(Copyright Transfer Agreement)는 원고를 투고할 때 모든 저자가 본 학회가 정 한 저작권 이양 정책에 동의하며, 연구와 관련된 모든 이해관계를 공개해야 한다.
(논문의 체제 및 작성 요령)
15.투고 원고는 다음의 순서에 따라 작성함을 원칙으로 하나 논문의 목적과 필요에 의해 일부 변경할 수 있다.
표지(Title Page)는 논문 유형(Article Type), 영문제목, 국문제목, 영문소제목, 저자, 소속, 감사의 글(해당 시), 이해 상충(Conflict Interest, 유무), 저자기여도(Author Contributions), 연구윤리(Ethics Approval), ORCID, 교신저자 정보 등을 별지(Title Page Template)에 작성하여 제출하며, 시스템에서 중복 항목은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16. 원고 본문은 원고 템플릿(Manuscript Template)을 활용하며, 저자의 이름, 소속, 감사의 글 등의 저자 관련 정보는 없도록 작성한다. 순서는 영문제목, 국문제목, Abstract 및 Keywords,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보충자료, References, Tables, Figure legends 순으로 이어서 쪽 구분 없이 연결하여 작성한다. 원고의 그림(Fig.)은 각 페이지에 별도 작성하여 파일로 제출하고, 원고 본문의 각 페이지 및 줄마다 일련번호를 표기한다.
17. 영문제목은 첫 글자만 대문자로 하고 나머지는 소문자로 작성한다.
18. 영문 저자명 및 소속을 작성할 때 매 단어의 첫머리 문자를 대문자로 표기하며, 영문 소속기관명은 부서명을 포함한 full name을 기울임체로 표기하고 주소는 도시(군)명 우편번호, 국명을 표기한다. 저자들의 소속이 다른 경우 저자 이름 끝에 1, 2(윗첨자) 등 아라비아 숫자를 순서에 따라 붙이고, 해당 저자의 소속기관 앞에 역시 같은 윗첨자를 붙인다. 그리고 공동 주저자(공동 제1저자, 공동 교 신저자)를 추가해서 지정할 수 있다. 제1저자의 경우 이름 오른쪽에 ‘‡’를 윗첨자로 표시한다. 공동1 저자의 경우에도 이름 오른쪽에 ‘‡’를 윗첨자로 표시한다. 교신저자의 경우 이름 오른쪽에 ‘*’를 윗 첨자로 표시한다. 공동교신저자의 경우에도 이름 오른쪽에 ‘*’를 윗첨자로 표시한다. 제1저자 및 교 신저자가 2명 이상인 경우 하단에 ‘‡’ 혹은 ‘*’표시와 함께 영문으로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로 표시한다. 저자명을 국문으로 표기할 때는 저자명 중간에 “․”를 삽입하고 (예: 홍길동․안중근․김홍도), 영문으로 표기할 때는 “,”을 넣어 표기한다(예: Kil-Dong Hong, Jungkun, Hong Do Kim). 표지 중단에는 소제목을 표기한다. 소제목(Running title)은 영문으로 작 성하고, 띄어쓰기 포함해서 50자 이내로 논문의 내용을 잘 나타낼 수 있도록 하며, 필요한 경우 편 집위원회에서 조정할 수 있다. 하단에는 교신저자의 영문이름과 연락처(E-mail, Phone, Fax)를 표 기한다. 공동교신저자의 경우도 영문이름과 연락처(E-mail, Phone, Fax)를 표기한다.
19. 영문초록(abstract)과 국문요약은 자체만으로 논문의 개요를 파악할 수 있도록 작성하며 목적, 방법, 결과, 결론이 포함되어야 하며 abstract는 200단어 전후(±20)로 한 문단으로 작성한다.
20. Abstract의 하단에 논문의 내용을 대변할 수 있는 5개 이내의 keywords를 영문 소문자로 표기한다.
21. 서론에는 연구동기와 목적을 분명하게 설명하고 저자가 어떤 문제를, 어떤 가설을 가지고 연구를 했 는지 등의 내용을 포함 하여야 한다.
22. 재료 및 방법에는 본 연구에서 수행된 연구 결과를 독자가 확인 실험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 하여야 한다.
- 1) 재료는 구체적 규격, 수량, 출처를 분명히 표시하고, 상품을 구입한 경우에는 괄호 안에 영문으로 “물질명[제조사, 제조지역(한국의 경우 도시, 미국의 경우 도시, 주명), 국가명]”과 같이 명시한다.
- 2) 실험용 기기, 장치, 소프트웨어 등은 괄호 안에 영문으로 “기기명(모델(버전)명, 제조사, 제조지역(한국의 경우 도시, 미국의 경우 도시, 주명, 국가명)”과 같이 명시한다. 동일 제품의 경우에는 최초에만 위의 형식대로 표시하고 다음부터는 모델과 제조사명만 기술한다.
- 3) 물질과 기기명 등은 약어나 고유명사가 아니면 첫 글자를 소문자로 표기한다.
- (예: glucose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 진공포장기(IS-100, Zeropack, Seoul, Korea), HPLC(Waters 600, Waters Co., Ltd., Miliford, MA, USA)
- 4) 잘 알려진 실험 방법이나 분석방법은 기존의 문헌을 인용하면서 간단히 기술, 방법의 변형 시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 5) 저자는 인체실험(관능평가)과 동물실험에 관한 연구기관이나 국가 지침을 준수해야 하고, 생명윤리 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또는 동물실험윤리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IACUC)의 승인을 받은 후 승인번호, 승인날짜 등을 기술한다.
23. 모든 표(table) 제목과 그림(figure)은 ‘Excel’이나 ‘Power point’로 1단 폭(8 cm) 또는 2단 폭(16 cm)의 크기로 작성하고 설명문은 영문으로 하되(“Table 1. --”, “Fig. 1. --”로 표기), 본문을 참조하지 않고 단독으로도 그 내용을 알 수 있게 기재한다. 표제목 끝에는 마침표를 찍지 않고 그림 설명문 끝에는 마침표를 찍으며, 두 경우 모두 첫 글자만 대문자로 쓴다.
1) 통계처리의 유의수준은 기울임체가 아닌 소문자 p자로 표현한다(p<0.05).
2) 표나 그림 내 data 표시는 mean±SD(또는 SE)로 표현하고 표나 그림 아래에 설명을 추가한다.
3) 통계분석결과의 유의수준 표시는 *, **, *** 등으로, 다중범위검정에서는 a,b,c,d 등으로 나타내며, 통계분석이 아닐 때는 저자가 임의로 표시할 수 있다.
4) 각주를 달 때는 table 내용 중 설명하려는 기호, 단어 또는 문장 끝에 1), 2), 3) 등의 표시를 붙이고 table 하단에 역시 같은 표시를 붙인 후 보통체로 설명한다. 각주의 설명은 마침표로 끝낸다.
5) 그림의 부호에 대한 설명은 그림 아래 설명문에 추가하고, 축 눈금(tic)은 안쪽으로 표시한다.
24. 원고에서 학명, 또는 기타 필요한 고유명사 및 국문의 영어식 표현은 ‘기울임체’로 표시하고 첫 글자는 대문자로 표시한다. 생물명은 abstract와 재료 및 방법에 학명을 언급하되 최초는 full name으로 이후는 속명을 약자로 표기한다. 품종명은 학명 다음에 cv. 품종명으로 표기하되 첫 글자 대문자, 보통체로 표기하고 한글발음표기는 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5. 한글표현에서 괄호를 사용할 경우 내용과 괄호사이는 붙여 쓰기, 영문표현(abstract, table 제목, Fig. 설명문 및 reference)및 영문원고에서의 괄호는 모든 경우에 띄어쓰기를 원칙으로 한다.
26. 숫자, 단위, 범위, 수식 및 약어 등의 표기는 아래사항과 첨부 원칙표에 따른다.
1) 숫자는 아라비아 숫자로, 단위는 CGS 혹은 SI 단위로 표기함을 원칙으로 하되 혼용하여 사용하지 않는다(예: mL, L, μL, μg 등). 단위는 숫자와 한 칸 띄운다. 단, 10℃, 10%, 10시간 등은 붙여 쓴다.
2) 숫자 등의 범위를 표기할 경우 하이픈(-)을 사용한다(예: 10-20℃, 5-10일 등).
3) 약어는 최초 언급 시 full name을 쓰고 괄호 안에 표기한 후 사용한다(예: modified atmosphere (MA)).
(References)
27. References는 국문과 영문 원고 모두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원문에 영문제목이 병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의미에 맞게 번역한다.
28.문헌인용은 본문 중 적절한 위치에 해당문헌 제1저자의 영문 성(last name)과 발행 연도를 표기한다.
- 예: 1인 저자: Kim(2019)에 따르면.../...라고 보고하였다(Kim, 2019).
2인 저자: Kim과 Lee(2019)에 따르면.../...라고 보고하였다(Kim과 Lee, 2019).
3인 이상 저자: Kim 등(2019)에 따르면/...라고 보고하였다(Kim 등, 2019).
동일저자의 복수문헌: Kim 등(2019a).../...Smith 등(2019b).
2개 이상의 참고문헌: ...라고 보고하였다(Kim, 2019; Lee, 2019). - (영문논문인 경우)
2인 저자: Kim and Lee (2019) reported.../...(Kim and Lee, 2019).
3인 이상 저자: Kim et al. (2019) reported.../...(Kim et al., 2019).
29. 참고문헌(References)은 영문저자명 알파벳 순서 및 발행년도 순서로 문헌을 배열한다.
30. 정기간행물은 저자명, 제목, 발행지명, 권수, 면수(첫페이지-끝페이지), 발행년도의 차례로 기술하고 정기간행물(잡지)의 약호는 영문인 경우는 ISI Journal Title Abbreviation Index (http://www.efm.leeds.ac.uk/~mark/ISIabbr/J_abrvjt.html)에 따르고, 동양어 논문인 경우는 저자명, 제목, 잡지명을 국가가 지정한 표기법에 따라 영문으로 표기한다.
31. 단행본은 저자명, (소제목), 서명, 판수, 편집자명, 출판사명, 발행지(도시, 국가), 직접적인 관련 면(첫 페이지-끝 페이지), 발행연도의 순서로 기술한다.
32. 인쇄 중인 문헌은 권수, 쪽수, 대신에 “in press"로 표시하거나 디지털 컨텐츠 고유 식별번호 DOI(http://www.doi.org)로 표시한다. 권(호)수를 알 경우는 이를 제시하고, 투고 중인 논문, 미발표 자료 및 개인통신의 경우는 문헌으로 인용하지 못한다.
33. 보고서, 특허, 저자 미상의 경우, 구두 및 포스터 발표된 내용, 재인용의 경우는 가급적으로 참고문헌으로 인용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부득이 인용할 경우에는 반드시 영문으로 인용한다.
34. References 작성 예.
- •정기간행물의 경우
1.Lee KD, Kim KS, Park AB. Influence of postharvest treatment on storage of apple. Korean J Food Preserv, 2, 11-23 (1993) - •책의 경우
2.Ryall AL, Liton WJ. Handling, Transportation and Storage of Fruits and Vegetables. Avi Publishing Co, Westport, Conneticut, USA, p 10-15 (1984)
3.SAS. SAS User's Guide: Statistics, 3th ed, SAS Institute Statistical Analysis System, Cary, NC, USA (1998) - •책 중 일부의 경우
4.Obeime D.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f fruit and vegetables. In: Chilled Foods, Golmley TR (Editor), Elsvier Applied Science, London, England, p 50-100 (1990)
5.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210-219 (1996) - •학위논문의 경우
6. Kim HG. Effects of processing and storage method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pear juices. Ph D Thesis (or MS Thesis), Daehan University, Korea, p 40-43 (2011) - •보고서의 경우
7.Hong KD. Development of Preservation Method for Apple's Improvement. Final Report of KOSEF, KOSEF 98-02-12345-02 (1998) - •특허의 경우
8.Kim KD. New technology of apple storage. USA Patent No. 111000 (1998) - •저자 미상의 경우
9. Anon. High humidity storage of vegetables and fruits. Korean J Food Sci Technol, 13, 13-21 (1998) - •구두 및 포스터 발표된 내용
10.Kim YN. Changes of polygalacturonase during softening of sweet potatoes. Paper presented at 18th Annual Meeting of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August 20, Daegu, Korea (2002) - •재인용의 경우
11.Presey R, Avants JK. Pepper polygalacturonase. Phytochem, 15, 1349-1351 (1976) [Hortisci, 13, 13-21 (1996)] - •웹페이지
12.Web page: Author(s). Title. Available from: URL. Accessed dat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Detection and quantitation of acrylamide in foods. Available from: https://www.mfds.go.kr. Accessed Dec. 10, 2021.
(기타)
35. 본 규정에 명시하지 않은 사항은 편집위원회의 결정에 따른다.
【 수식과 단위 표기 】
옳은 표기 | 틀린 표기 | 옳은 표기 | 틀린 표기 |
---|---|---|---|
【 단위 】 |
30℃ | 30 ℃ | |
2 cm (centimeter) | 2 cms, 2cm, 2 cm. | K (absolute degree; Kelvin) | oK |
2 m (meter) | 2 M | pH 7.0 | PH 7.0, pH7.0 |
1 μm (micrometer) | 1 μ, 1㎕, 1μm | 15 cP (centipoise) | 15 CP, 15 cps., 15 cp |
27 g (gram) | 27g, 27 gr, 27 grs. | 20 MPa (mega pascal) | 20 mPa, 20 mpa, 20 Mpa |
30 kg (kilogram) | 30kg, 30 Kg, 30kgs. | 18,000 ×g (gravity) | 18,000 ×g, 18,000×g, 18000g |
30 mL (milliliter) | 30 ml, 30 ㎖, 30mL | 2 log CFU | 2 log cfu, 2 Log CFU |
50 L (liter) | 50 l, 50 l, 50l, 50L | 15 oBrix | 15oBrix |
2.5 h (hour) | 2.5 hr, 2.5 hr., 2.5 hrs, 2.5 hrs | 15 kgf | 15 Kgf, 15 kgf |
3.5 min (minute) | 3.5min, 3.5 mins. | 【 범위 】 | |
20 sec (second) | 20 s, 20 sec. | 0.3-0.9 g | 0.3-0.9 g, 0.3 - 0.9 g |
60 mm/min | 60 mm/min., 60mm/min | 【 수식 】 | |
25 m/sec | 25 m/s, 25 ms-1 | 0.101 | .101 |
25% (percent) | 25 % | (a+b)/(c+d) | a+b/c+d |
20%(w/v) | 20% (w/v), 20%(W/V) | 【 약어 】 | |
0.54 mg% | 0.54mg%, 0.54 mg % | OD (optical density) | O.D, O. D. |
25 ppm | 25ppm, 25 PPM | DE (dextrose equivalent) | D.E, D. E. |
1x10-3 M (molarity) | 1x10-3M, 1 x 10-3 M | ND (not detected) | N.D, N. D. |
0.01 N HCl | 0.01N HCl, 0.01N-HCl | SD (standard deviation) | S.D, S. D. |
USA | U.S.A., U.S.A, US |